구름도 머무는 700고지 암자

운주암 뜰앞 3층석탑에서 바라본 조망. 첩첩한 산줄기 사이로 뭇 생명과 삶이 면면히 흐른다. 맨 뒤의 산줄기는 창원 정병산~무학산 일대다
운주암 뜰앞 3층석탑에서 바라본 조망. 첩첩한 산줄기 사이로 뭇 생명과 삶이 면면히 흐른다. 맨 뒤의 산줄기는 창원 정병산~무학산 일대다

밀양(密陽)은 그 이름과 발음에서부터 비밀스런 매혹이 느껴진다. 같은 제목의 영화도 그런 이름에 착안했을 것이다.

남으로는 낙동강을 끼고 있지만 밀양은 온통 산악지대다. 남부 내륙의 거대한 산악지대인 영남알프스도 밀양 권역이 가장 넓다. 1000m급 고봉이 즐비한 영남알프스를 안고 있긴 해도 밀양의 진산은 다소 무명인 화악산(932m)이다. 밀양시내 북쪽에 웅장한 장벽처럼 솟아 청도와의 경계를 이룬다. 저지대에서 900m를 넘는 높이는 상당해서 위용을 발산하고 사방으로 줄기를 퍼뜨리고 있다. 밀양시내 북단의 옥교산(538m)은 화악산 남릉에 해당하고, 옥교산 줄기가 더 흘러내려 시내의 추화산(243m)을 빚었고 밀양시가지는 추화산에 기대 형성되었다. 추화(推火)는 신라 때 밀양의 지명이기도 하다.

운정산에서 바라본 화악산. 구름이 살짝 걸린 곳이 정상이고, 맨왼쪽 철탑 위에 운주암이 있다 

화악산 정상 바로 턱밑에는 운주암(雲住庵)이 있다. 해발 690m이니 얼마 전에 올랐던 충남 내륙 최고봉인 광덕산(699m)과 맞먹는다. 너무 높아 구름이 머문다는 이름은 탈속감과 운치를 더해준다.

운주암을 올랐다가 밀양 북부를 돌아오는 여정의 기점은 위양지(位良池, 위양못)다. 위양지는 신라 때 만은 저수지로 못 가운데는 완재정(宛在亭)이 인공섬 위에 앉아 있고, 주위에는 이팝나무 고목이 우거져 그윽한 분위기다. 저수지는 길이 390m, 둘레 950m로 원래는 훨씬 더 컸다고 하며, 휴일이면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 산 사이에 280m 정도의 둑을 쌓아 대규모 저수지를 축조한 고대인의 안목에 감탄한다. 삼한시대 수리시설인 제천 의림지와 입지와 축조 방식이 흡사하다.

인공섬에 완재정이 있어 더욱 운치 있는 위양지(안내문 사진). 주위는 이팝나무 고목이 에워싸고 있다   

위양지 북쪽에서 운주암 가는 산길이 곧장 시작된다. 위양지가 해발 70m이니 운주암까지는 고도차 620m를 극복해야 하는 엄청난 업힐이다. 거리도 7.8km나 되어 화악산의 웅자를 말해준다.

화악(華岳)은 아무래도 중국의 화산(華山)에서 유래한 것 같다. 옛 기록에도 ‘화산’, ‘둔덕(屯德)’ 지명이 보인다. 중국 화산(2200m)은 높이가 훨씬 높고 거대한 암벽이 많은 골산(骨山)이지만 화악산은 돌출바위가 거의 없는 육산이다. 하지만 산록의 경사가 심하고 주능선에 은근하게 드러난 암릉을 보아 산체 아래는 거대한 암괴가 버티고 있을 것 같다.

길이 좁고 험한데 간혹 차량이 다니는 것은 위쪽에 꽤 큰 마을이 있어서다. 화악산의 전위봉에 해당하는 돛대산(449m) 기슭을 오르면 22년 5월 무려 5일 동안 큰 산불이 이어진 옥교산이 마주 보인다. 축구장 1000개 면적에 100만 그루의 나무를 태운 화마의 흔적이 선명하다. 강풍까지 겹쳤다지만 도시 근교 산에서 난 불이 5일 간이나 이어진 것은 이례적이다. 자세히 보니 옥교산 사면이 급하고 숲이 울창해 불이 급속도로 번진 것 같다.

돛대산 사면을 오르는 길목. 저 아래로 위양지와 밀양시내가 차례로 보인다산불의 상흔이 남은 옥교산. 5일 간 축구장 100개 면적을 태웠으니 대단한 불이었다  

돛대산 주릉을 넘는 고개를 내려서면 평밭마을이 비교적 완만한 골짜기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숲에 가려 마을의 전모가 드러나진 않지만 해발 350~500m에 걸쳐 있고 30가구쯤 될 것 같다. ‘평밭’이란 이름 역시 산중에 있는 ‘평평한 밭’이란 의미다. 반쯤 숨어사는 사람들의 사연이야 알 길이 없으나 속사(俗事)에 질리면 산중권태가 그립기도 할 것이다.

화악산 허리에 도열해 있는 송전탑은 고리원자력발전소의 전기를 대구 방면으로 보내는 송전라인이다. 경관을 다소 해치긴 하지만 땅은 좁고 산이 많은 우리 현실에서 산줄기를 따라 송전선을 설치할 수밖에 달리 방법이 없기도 하다.

평밭마을을 지나 구비를 돌 때마다 작은 골짜기에는 한두 가구가 숨듯이 흩어져 있다. 평밭마을마저 번화하다 느껴 한 단계 더 들어간 도피일까.

형제봉(557m) 능선의 봉천재(420m)는 삼거리를 이룬다. 오른쪽 업힐은 운주암 가는 길, 정면은 청도면 방면 하산길이다. 바로 산 너머에 청도군이 있어 밀양시 청도면과 혼동하기 쉬운데, 밀양 청도면은 옛날 청도군 외서면이 밀양으로 편입된 지역이다.

평밭에서 봉천재까지는 다소 평탄했다면 이제부터 운주암까지는 가파른 업힐의 연속이다. 천천히, 쉬엄쉬엄 오르다보니 어느새 해발 600m 능선을 돌파한다. 저편으로 운주암이 숲속에 묻혀 있고 주위 산세가 우람하며 아득히 원경이 펼쳐진다.

화악산 중턱, 해발 350~500m에 걸쳐 있는 평밭마을

삼거리를 이룬 봉천재(420m). 왼쪽 길로 와서 운주암을 올랐다가 오른쪽 길로 내려갈 것이다

운주암 직전에서 본 조망. 고도가 높아 첩첩한 산들이 발밑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자전거생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